

이번에는 전기와 자기의 역사에 관한 큰 맥락을 짚어보려고 해요. 전기와 자기가 어떻게 분리되고 연결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보세요.
아주 옛날...
고대부터 전기, 자기 현상은 늘 알 수 없는 안개 ☁에 가려져 있었어요. 무언가 밀기도 하고 공중에 띄우기도 하고, 갑자기 어디 찰싹 달라붙기도 하잖아요. 만져보면 찌릿한 게 느낌이 이상할 때도 있고, 특정 방향으로 돌아가기도 하고요.
그러니 미신의 소재로도 많이 오르내리고, 주술적인 느낌도 들었어요. 의술에서 잘못된 방법으로 쓰이기도 했고요.
이러니 제대로 된 연구는 당연히 없었고, 다 비슷비슷한 현상으로 흐릿하게 뭉쳐져 있었어요.
그러니 미신의 소재로도 많이 오르내리고, 주술적인 느낌도 들었어요. 의술에서 잘못된 방법으로 쓰이기도 했고요.
이러니 제대로 된 연구는 당연히 없었고, 다 비슷비슷한 현상으로 흐릿하게 뭉쳐져 있었어요.
최초의 분리와 연구
윌리엄 길버트가 전기와 자기에 관해 본격적으로 연구해서 교통정리를 싹 했어요. 이게 16세기쯤이에요.
뭘 했는지 다시 간단하게 살펴보면,
뭘 했는지 다시 간단하게 살펴보면,
1. 전기적 현상과 자기적 현상은 다른 거라고 못 박음
2. 자석에 N, S극 이름을 붙임
3. 자석이 밀고 당기는 법칙 정리
4.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자석임을 알아냄
2. 자석에 N, S극 이름을 붙임
3. 자석이 밀고 당기는 법칙 정리
4.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자석임을 알아냄
전기 ⚡가 자기 🧲를 만든다고?
1820년,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가 중요한 발견을 해요.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나침반 🧭을 놓았더니 나침반이 움직인 것이었죠.
그게 뭐 대수냐고요?
길버트 이후 과학자들은 전기와 자기를 완전히 분리해서 생각했어요. 그러니 나침반을 도선 근처에 가지고 가볼 시도도 안 해본 거에요.
그게 뭐 대수냐고요?
길버트 이후 과학자들은 전기와 자기를 완전히 분리해서 생각했어요. 그러니 나침반을 도선 근처에 가지고 가볼 시도도 안 해본 거에요.

1687년 뉴턴
이 만유인력과 운동 법칙을 발표한 이후, 힘은 두 대상을 이은 직선을 따라 작용하는 거고 힘을 만드는 원인은 그 물체 자체에 있다는 생각이 주류였어요.

하지만 뉴턴 자신도 이렇게 힘이 직선으로, 매개도 없이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우려했어요.
하지만 그게 대수인가요.
힘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도록 딱 떨어지는 것이 식도 얼마나 아름다운데요!
전기도 어김없이 만유인력처럼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도록 식이 딱 떨어졌고, 모든 게 명확해보였어요.
(
: 이에 대한 내용은 여기에서 자세히 볼 수 있어요.)
전기는 전기, 자기는 자기, 중력은 중력! 힘의 원인은 물체에! 직선!
경계는 명확하고 잘 맞아떨어졌어요.
그러니 누구도 그 옛날 얽혀있던 전기와 자기를 다시 붙여볼 생각을 안 해본 거예요.
하지만 비슷한 시기 칸트를 비롯한 독일 철학으로부터 물리 현상의 에너지는 그 물체 자체에 있는 게 아니라 그 주변에 있다고 보는 목소리들이 나왔어요. 어떤 조건이 되면 전기가 되기도 하고, 자기가 되기도 한다는 아이디어었죠.
그리고 외르스테드는 독일 철학에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이었어요. 그래서 나침반을 도선 근처에 한 번 가져가볼까 시도해 본 거예요.
하지만 그게 대수인가요.
힘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도록 딱 떨어지는 것이 식도 얼마나 아름다운데요!
전기도 어김없이 만유인력처럼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도록 식이 딱 떨어졌고, 모든 게 명확해보였어요.
(

전기는 전기, 자기는 자기, 중력은 중력! 힘의 원인은 물체에! 직선!
경계는 명확하고 잘 맞아떨어졌어요.
그러니 누구도 그 옛날 얽혀있던 전기와 자기를 다시 붙여볼 생각을 안 해본 거예요.
하지만 비슷한 시기 칸트를 비롯한 독일 철학으로부터 물리 현상의 에너지는 그 물체 자체에 있는 게 아니라 그 주변에 있다고 보는 목소리들이 나왔어요. 어떤 조건이 되면 전기가 되기도 하고, 자기가 되기도 한다는 아이디어었죠.
그리고 외르스테드는 독일 철학에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이었어요. 그래서 나침반을 도선 근처에 한 번 가져가볼까 시도해 본 거예요.
외르스테드는 한 강연에서 도선 근처에 나침반🧭을 가져갔고, 나침반이 약간 움직이긴 했지만 큰 반응은 없었어요.
몇 달 후 전류가 훨씬 많이 흐르도록 해서 같은 실험을 했더니, 나침반이 거의 직각이 되도록 돌아갔어요.
즉 전기가 자기를 만들어낸 거에요.
이후, 이 소식을 들은 앙페르는 자신만의 연구에 착수하여 나란한 두 도선 사이에 서로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공식까지 정리하여 발표했어요.
이후, 이 소식을 들은 앙페르는 자신만의 연구에 착수하여 나란한 두 도선 사이에 서로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공식까지 정리하여 발표했어요.
그렇다면 자기도 전기를 만들지 않을까 🤔
그 시기 마이클 패러데이를 비롯한 여러 과학자들은 비슷한 생각을 했어요. 전기가 자기를 만든다면 자기도 전기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이렇다 할 실험이 나오지 않았어요.
이 시기 패러데이는 주머니 속에 작은 철 원통을 넣어 다니면서 끊임없이 이를 고민했다고 해요.
그러다 한 실험을 하게 되는데요, 그림처럼 두 코일을 두고 코일 A에서 전류가 흘렀을 때 코일 B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거예요.
하지만 이렇다 할 실험이 나오지 않았어요.
이 시기 패러데이는 주머니 속에 작은 철 원통을 넣어 다니면서 끊임없이 이를 고민했다고 해요.
그러다 한 실험을 하게 되는데요, 그림처럼 두 코일을 두고 코일 A에서 전류가 흘렀을 때 코일 B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거예요.
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았어요.
아니 이게 뭔가요. 전류가 잘 흐르는 중에는 별 반응도 없는데, 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랑 끊길 때만 코일 B에 전류가 유도되는 것 아니겠어요.
패러데이는 이어서 실제 자석으로 몇 가지 실험을 추가로 해보고는,
‘자기의 변화가 있을 때 전류가 유도된다’는 결론을 내게 돼요. 그러니까 자석이 있는 것만으로 전류가 흐르는 게 아니고, 그게 변화해야 흐른다는 거예요.
이를 전자기 유도라고 불러요.
패러데이가 결국 밝혀낸 거에요. 자기도 전기를 만든다는 것을요.
전자기학의 완성
전기와 자기의 마지막 장이에요.
① 전기와 자기는 하나로 섞여있다가
② 길버트에 의해 분리되었다가
③ 전기가 자기를 만들고, 자기가 전기를 만드는 관계로 다시 만났어요.
앞에서 전자기 유도를 밝혀낸 패러데이는 어릴 적부터 많은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과학을 연구한 인물이라 늘 수학적 접근이 약했어요. 이런 점은 수학에 갇히지 않은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주어 결론적으로 더 독창적인 결과를 냈다고도 할 수 있는데요.
당시 패러데이를 제외한 과학자들은 대부분이 '원격 작용'이라는 관념의 편에 서있었어요. 수학적으로 딱 떨어졌거든요.
패러데이는 상호작용하는 물체 자체보다는 공간에 더 집중했고 그 결과 역선이라는 개념을 제시했어요. 지금은 전기력선, 자기력선으로 너무도 당연하게 쓰이고 있는 개념인데요, 당시 사람들은 역선이 수학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그 개념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어요.
하지만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그 개념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고, 자신이 할 일은 그것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여러 차례 모델을 세우고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한 결과 맥스웰은 그 개념을 수학적으로 표현했고, 이후 과학자들이 이를 4개의 방정식으로 추리게 돼요.
그것이 전자기학 전체를 완성한 맥스웰 방정식이예요.
① 전기와 자기는 하나로 섞여있다가
② 길버트에 의해 분리되었다가
③ 전기가 자기를 만들고, 자기가 전기를 만드는 관계로 다시 만났어요.
앞에서 전자기 유도를 밝혀낸 패러데이는 어릴 적부터 많은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과학을 연구한 인물이라 늘 수학적 접근이 약했어요. 이런 점은 수학에 갇히지 않은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주어 결론적으로 더 독창적인 결과를 냈다고도 할 수 있는데요.
당시 패러데이를 제외한 과학자들은 대부분이 '원격 작용'이라는 관념의 편에 서있었어요. 수학적으로 딱 떨어졌거든요.
패러데이는 상호작용하는 물체 자체보다는 공간에 더 집중했고 그 결과 역선이라는 개념을 제시했어요. 지금은 전기력선, 자기력선으로 너무도 당연하게 쓰이고 있는 개념인데요, 당시 사람들은 역선이 수학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그 개념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어요.
하지만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그 개념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고, 자신이 할 일은 그것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여러 차례 모델을 세우고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한 결과 맥스웰은 그 개념을 수학적으로 표현했고, 이후 과학자들이 이를 4개의 방정식으로 추리게 돼요.
그것이 전자기학 전체를 완성한 맥스웰 방정식이예요.
또한 이 과정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이 변화하며 서로가 서로를 유도하며 진행하는 전자기파를 예측하게 되고, 그 전자기파의 속도가 빛의 속도와 같다는 것까지 알게 돼요.
그러니까 지금까지 우리가 보던 그 빛의 정체가 사실 전기와 자기가 얽혀 파동으로 진행하는 거였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지금까지 우리가 보던 그 빛의 정체가 사실 전기와 자기가 얽혀 파동으로 진행하는 거였다는 거예요.
전기와 자기는 이제 전자기학으로 합쳐졌고 완성된 학문이 되었어요.
앞으로는 여기에 나온 ① 전류가 나침반을 돌아가게 만든 것, ② 전자기 유도 등을 차근차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참고문헌: 낸시 포브스, 배질 마혼. 『패러데이와 맥스웰』. 박찬, 박술(역). 반니, 2015.
'물리하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하마] 자기 Basic: 자석, 길버트, 자기력🧲 (0) | 2023.01.02 |
---|---|
[물리하마] 정전기 유도: 도체, 부도체, 유전분극 (0) | 2022.12.08 |
[물리하마] 전기 Basic: 전하, 전기력⚡ (0) | 2021.11.08 |
[물리하마] 하늘은 어떻게 움직이나②: 튀코 브라헤, 케플러, 뉴턴, 만유인력, 타원궤도 (0) | 2021.06.26 |
[물리하마] 하늘은 어떻게 움직이나①: 지동설, 천동설, 프톨레마이오스, 코페르니쿠스 (0) | 2021.06.23 |